권리금 소송이란?
권리금의 종류
| 바닥권리금 | |
| | |
| | |
권리금의 목적
임차인이 권리금을 임대인에게 주장할 수 있는 조건
- 사업자등록이 되어있어야 합니다.
- 국가소유의 건물이 아니어야 합니다.
- 계약 만료가 되기 전 만료일까지
새로운 임차인을 구해야합니다.
- 임대료가 3개월 동안 밀린 것이 없어야 합니다.
- 새 임차인으로부터 받을 권리금이 있는 상황에서
임대인이 신규 계약을 정당한 이유없이 거절했을 경우입니다.
임대인이 임차인에게 권리금 반환을 거절할 수 있는 조건
- 신규 임차인이 보증금과 차임을 낼 수 없는 경우입니다.
- 임차인으로서 책임을 회피하는 경우입니다.
- 계약관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긴 경우입니다.
- 건물을 1년 6개월 이상
사업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입니다.
- 임대인이 구한 새 임차인과 계약을 할 때
권리금을 이미 받은 경우입니다.
현재 카테고리 글
전체글 보기
| 785 | 민사 일반 | 채권양도통지, 꼭 알아야 할 성립 요건과 주의 사항 민사 일반2025-09-16 | 2025-09-16 | 151 | 774 | 민사 일반 | [상법상 경업금지의무] 영업양도와 동종영업 금지에 관한 대법원 판례 정리 민사 일반2025-09-01 | 2025-09-01 | 219 | 769 | 민사 일반 | [실전 TIP] 소송에서 검증과 감정 절차의 활용 민사 일반2025-08-22 | 2025-08-22 | 269 | 758 | 민사 일반 | 빠른 명도를 원한다면? 명도단행가처분, 꼭 알아야 할 절차와 주의사항 민사 일반2025-07-22 | 2025-07-22 | 422 | 739 | 민사 일반 | 전세보증금 반환청구소송, 이렇게 준비해야 합니다 민사 일반2025-06-13 | 2025-06-13 | 485 |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