권리금 소송이란?
권리금의 종류
바닥권리금 | |
| |
| |
권리금의 목적
임차인이 권리금을 임대인에게 주장할 수 있는 조건
- 사업자등록이 되어있어야 합니다.
- 국가소유의 건물이 아니어야 합니다.
- 계약 만료가 되기 전 만료일까지
새로운 임차인을 구해야합니다.
- 임대료가 3개월 동안 밀린 것이 없어야 합니다.
- 새 임차인으로부터 받을 권리금이 있는 상황에서
임대인이 신규 계약을 정당한 이유없이 거절했을 경우입니다.
임대인이 임차인에게 권리금 반환을 거절할 수 있는 조건
- 신규 임차인이 보증금과 차임을 낼 수 없는 경우입니다.
- 임차인으로서 책임을 회피하는 경우입니다.
- 계약관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긴 경우입니다.
- 건물을 1년 6개월 이상
사업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입니다.
- 임대인이 구한 새 임차인과 계약을 할 때
권리금을 이미 받은 경우입니다.
현재 카테고리 글
전체글 보기
682 | 민사 일반 | 깡통전세 피해 예방법! 안전한 전세 계약 가이드 살펴보기 민사 일반2025-03-11 | 2025-03-11 | 584 | 681 | 민사 일반 | 입주자대표회의·관리소장 필독!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례와 대처법 민사 일반2025-03-10 | 2025-03-10 | 883 | 678 | 민사 일반 | 명도소송, 강제집행까지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확인해야 할 두 가지 핵심 포인트는? 민사 일반2025-02-27 | 2025-02-27 | 877 | 672 | 민사 일반 | 항소이유서 제출 의무화, 2025년 민사소송법 개정 주요 내용 민사 일반2025-02-17 | 2025-02-17 | 2776 | 671 | 민사 일반 | 임대인의 실거주 갱신 거절, 반드시 알아야 할 법적 요건 민사 일반2025-02-14 | 2025-02-14 | 157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