배상명령제도란?
배상명령을 신청할 수 있는 경우
- 상해
- 상해로 인한 불구 또는 난치병의 발생
- 폭행 상해 또는 사망
- 과실 또는 업무상 과실로 인한 상해 또는 사망
- 절도, 강도
- 사기, 공갈
- 횡령, 배임
- 재물 손괴
- 강간, 추행
배상명령을 인정하지 않는 경우
1. 피해자의 성명·주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
2. 피해 금액이 특정되지 아니한 경우
3. 피고인의 배상책임의 유무 또는 그 범위가
명백하지 아니한 경우
4. 배상명령으로 인하여 공판절차가
현저히 지연될 우려가 있거나
형사소송 절차에서 배상명령을 하는 것이
타당하지 아니하다고 인정되는 경우
법률사무소 화랑 이지훈 변호사
T : 053-741-5300
010-4627-5331
대구 수성구 동대구로 354, 브라운스톤 702호 법률사무소 화랑
현재 카테고리 글
전체글 보기
755 | 형사 일반 | 단순 소지라도 실형 선고? 마약류관리법 위반(소지) 혐의에 대한 법적 대응 및 전략 알아보기! 형사 일반2025-07-11 | 2025-07-11 | 356 | 754 | 형사 일반 | 무고죄 처벌 가능할까? 무고죄 성립 요건과 주요 판례로 알아보는 실전 TIP 형사 일반2025-07-10 | 2025-07-10 | 1159 | 752 | 형사 일반 | 고소 취소하면 다시 고소 못하나요? 재고소 가능성 완벽 정리 TIP 형사 일반2025-07-07 | 2025-07-07 | 642 | 751 | 형사 일반 | CCTV 징계, 합법적으로 하는 방법은? 판례로 보는 대응 전략과 법적 한계 형사 일반2025-07-04 | 2025-07-04 | 775 | 749 | 형사 일반 | 단톡방에서 욕하면 처벌될까? 모욕죄 성립 요건과 실제 판례 알아보기 형사 일반2025-07-02 | 2025-07-02 | 1619 |